목차
미소드림적금은 취약계층의 자산형성을 돕는 적금으로서, 만기 시 이자를 2배(최대 10%)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. 저소득 저신용자라도 적은 금액을 꾸준히 저축해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미소드림적금에 대한 가입혜택, 가입대상, 가입방법에 대해 알려드릴 테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미소드림적금은 서민의 경제적 자립을 도와주는 정부기관인 서민금융진흥원(서금원)에서 시행하고 있으니, 적극적으로 신청하셔서 조금씩 목돈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.(서금원 홈페이지)
미소드림적금이란? / 가입혜택
미소드림적금이란 '저소득, 저신용자'의 경제적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적금으로 소액을 장기간 저축할 수 있으며,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굉장히 큰 금융상품이기에 결코 놓치지 마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.
<미소드림적금 상품요약>
2023.3.31부터 적용사항 |
||
상품종류 | 자유적립식 | |
가입금액 | 월 최대 20만원 | |
가입기간 | 최소 1년 ~ 최대 5년 (서금원 지원금액 : 최대 3년분) |
|
만기금리 (우대금리 1% 추가됨) |
1년 | 연 4.6% |
2년 | 연 4.8% | |
3 ~ 5년 | 연 5.0% | |
이자지급방식 | 만기에 일시지급 (원금+만기이자+서금원지원금) |
|
거래방법 | 5개은행 영업점 창구 (우리, 신한, 국민, 하나, 기업) |
즉, 만기 시 은행에서 원금과 이자(기본금리에 우대금리 1% 추가) +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추가지원금(은행이자와 동일매칭 이자율)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.
그래서 2배 이자( =10% 이자)를 받을 수 있는데, 시중은행의 적금상품 중 이런 혜택은 단연코 없습니다.
*** 예를 들어, 미소드림적금 매달 20만 원씩, 3년 만기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약 97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답니다. ***
- 원금 : 720만 원
- 은행이자(연 5%) + 서금원 이자지원금(연 5%) = 약 97만 원(연 10%)
따라서, 미소드림적금 가입대상에 해당되는지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
미소드림적금 가입대상
미소드림적금 가입대상자는 아래 두 가지 경우라면 가능하니 꼼꼼히 살펴보시고, 꼭 가입하셔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.
미소금융 성실상환자 중 저소득자, 취약계층
- 현재, 미소금융 대출을 이용하시면서 성실하게 상환하는 저소득, 취약계층에 해당되고, 미소드림적금 신청일 현재까지 연체가 없다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. (단 1건이라도 연체일수 1일 이상의 이력이 있다면 가입불가)
- 즉, 차상위계층 이하자, 근로장려금 수급대상자 및 취약계층 자립자금 대상자(한부모가족, 조손가족, 다문화가족, 북한이탈주민, 등록자애인, 특별재난지역 거주자 등)라면 가입할 수 있어요.
- '미소금융사업'은 제도권 금융이용이 곤란한 금융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차업자금, 운영자금 등 자활자금을 무담보, 무보증으로 지원하는 소액대출사업을 말합니다.
채무조정 성실상환자 중 차상위계층 이하자
- 신용회복위원회 /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6개월 이상 연체 없이 이용하고 있는 저소득 성실상 환자라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.
가입방법(신청)
미소금융지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서민금융진흥원 앱을 통해서 가입대상여부를 확인 및 추천서발급을 신청하면, 심사 후 추천서가 발급(문자발송) 됩니다. 그러면, 은행에 가서 '미소드림적금'을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.
1. 상품참여신청 (미소금융지점 및 통합지원센터)
- 미소금융 성실상환자는 미소금융지점 방문해서 신청서 작성 또는 서금원 앱을 통해 가입대상여부 확인 및 추천서 발급 신청합니다.
- 채무조정 성실상환자는 채무조정기구에 방문해서 채무변제 상환내역 확인서를 받아서 미소금융지점에 방문해서 신청서 작성합니다. (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성실상환자는 비대면 신청이 불가)
- 신분증, 지원대상 확인서류 준비
2. 추천서 발급 ( 미소금융지점 및 통합지원센터)
- 미소금융지점 및 통합지원센터에서 '미소드림적금 참여 추천서'를 발급받거나 앱을 통해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3. 적금통장개설(은행지점)
- 신청자는 추천서에 적혀있는 은행지점을 방문해서 미소드림적금 통장개설합니다.
4. 약정체결( 미소금융지점 및 통합지원센터)
- 신청자는 적금만기 후 지원금 지급에 관한 '미소드림적금 거래약정서를 작성합니다.
5. 적금 만기 시 (은행지점 > 미소금융지점 및 통합지원센터)
- 적금이 만기 / 중도해지 시 은행에서 미소드림적금의 이자 확인서(영수증)를 받아서, 미소금융지점 및 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해서 지원금을 청구합니다.
6. 지원금 지급(서민금융진흥원)
- 이용자가 지급요청한 계좌로 지원금이 송금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
청년도약계좌 혜택, 신청방법, 가입조건 알아보기
목차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(60개월) 간 매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5000만 원 정도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써, 청년의 중장기 자산의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정책형 금융상
a.happytreeya.com
지금까지 미소드림적금에 대한 가입혜택, 가입대상, 가입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다시 힘을 내서 일어설 수 있길 바라는 저소득, 저신용자 분들에게 분명 도움이 되는 좋은 상품인 것 같아요. 꼼꼼히 잘 읽어보시고 대상자가 되신다면, 신청하셔서 조금씩 목돈을 마련해 나가시길 바랍니다.
'금융 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 기초연금 ( 기초노령연금 ) 금액, 자격,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| 2023.11.06 |
---|---|
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(2차) 신청, 자격 알아보기 (0) | 2023.09.18 |
2023 군인월급, 만기총액 알아보기 (0) | 2023.08.21 |
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,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| 2023.08.10 |
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금, 신청 알아보기 (2023) (0) | 2023.08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