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2023년부터 군인 병장월급 100만 원, 군인적금(장병내일준비적금)의 정부매칭 지원금이 기존 33%에서 71%로 대폭 인상되었습니다. 18개월 만기 제대 시 약 1,300만 원 수준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한 지원금액,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장병내일준비적금 (지원금액)
장병내일준비적금은 군인들이 전역 후 목돈을 마련함으로써, 사회로 진출하는 첫 발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디딜 수 있도록 돕는 정부정책형 적금제도입니다.
2023년부터 군인 월급도 인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의 매칭 지원금 비율도 71%로 대폭 확대되었기에 육군의 경우, 복무기간(18개월)을 마치고 제대 시 대략 1,300만 원 가까운 목돈을 마련하여 사회에 복귀할 수 있습니다.
- 은행별 월 20만 원 / 개인별 최대 40만 원 이내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군인본인 납입원금(최대 40만 원) + 은행이자(5%) + 국가지원이자(1%) + 정부매칭 지원금(71%) = 만기 지급액 (비과세)
예를 들어, 육군 18개월 복무 / 매월 40만 원을 납입했다면 ;
원금(720만 원) + 은행이자(28.5만 원) + 국가지원이자(5.7만 원) + 정부매칭 지원금(535.5만 원) = 약 1,289만 원 목돈마련
- 납입기간에 따른 세부 이자율 : 최소 6개월부터 최대 24개월까지 가능합니다. (의무복무 기간만큼)
납입기간 | 6개월 ~ 12개월 미만 | 12개월 이상 ~ 16개월 미만 | 16개월 이상 ~ 만기(최대 24개월) |
이자 | 평균 4.76 % (은행이자 3.76% + 국가지원 1%) |
평균 5.32 % (은행이자 4.32% + 국가지원 1%) |
평균 6.04 % (은행이자 5.04% + 국가지원 1%) |
- 정부지원금(이자지원금 + 매칭지원금)은 만기해지 시 지원합니다.
장병내일준비적금 자격조건(지원대상)
- 장병내일준비적금은 대한민국 병역의무 이행자를 대상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.
현역병, 상근예비역, 사회복무요원, 전환복무자(의무경찰, 의무해양경찰, 의무소방), 대체복무요원
- 가입기간은 최소 6개월 이상 ~ 최대 24개월
구분 | 육군, 해병, 상근예비역, 의무경찰 |
해군, 의무해양경찰, 의무소방원 |
사회복무요원 | 공군 | 대체복무요원 |
가입기간 | 6개월 ~ 18개월 | 6개월 ~ 20개월 | 6개월 ~ 21개월 | 6개월 ~ 22개월 | 6개월 ~ 24개월 |
신청방법 / 제출서류
대부분 훈련소에서 서류를 작성하여 부대인사담당자가 군적금 신청절차를 처리해 줍니다. 만약 자대 배치 후라면, 국군인사정보체계에서 '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'를 출력해 자대 내 은행에서 신청하거나, 휴가 때 편한 은행에서 신청하면 됩니다.
1. 신청방법
신병교육기관 (훈련소, 신병교육대대) |
1) 부대 인사담당자가 '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' 통합 발급 2) 훈련기간 중 은행에서 부대방문 3) 가입신청서 작성 |
자대 전입 후 (기관 복무 중) |
1) 행정반의 국방인사정보체계에서 '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' 승인 후 출력 2) 휴가, 외출시 서류지참 후 은행방문해 신청 |
온라인 (비대면 가입) |
1) 나라사랑포털 앱 접속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|
2. 제출서류
: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
신청은행 : 총 14개 은행(신한, 우리, 하나, KB국민, 농협, IBK기업, 수협, 대구, 부산, 경남, 광주, 전북, 제주, 우체국)에서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거나 또는 온라인 신청(KB국민, IBK기업, 하나은행) 하실 수 있습니다.
3. 대리인 신청
부모님 중 한 분이 직접 은행을 방문해서 자녀의 적금을 대리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.
지참서류: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, 가족관계증명서(상세), 부모님 신분증
마치며
지금까지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한 지원금액,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. 나라를 위해 군복무를 하는 청년들을 위해 더 많은 혜택이 확대되었으면 하는데, 2023년엔 군인 월급뿐만 아니라 군인적금도 인상되어서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. 앞으로 차근차근 더욱 확대되었으면 합니다. 가입대상자가 되신다면, 꼼꼼히 살펴보시고 되도록 빨리 신청하셔서 전역할 때 필요한 자산형성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'금융 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하기(2023) (0) | 2023.08.01 |
---|---|
서울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료 지원 신청하기(2023) (0) | 2023.07.26 |
2023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하기 (1200만원) (0) | 2023.07.14 |
2023 청년 월세지원금 지원내용, 지원조건,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3.07.11 |
2023 청년지원정책 TOP 3 추천 (0) | 2023.07.08 |
댓글